영롱이와 스너피 검증 힘들다..?
2005. 12. 30. 09:49ㆍ이최공감
세계 최초의 복제개 ‘스너피’에 대한 검증이 미궁에 빠질 가능성이 제기됐다. 스너피에게 난자를 제공한 개가 죽어 세포질 DNA(미토콘드리아 DNA)를 맞춰볼 수 없기 때문이다.
서울대 수의대팀은 스너피 복제를 위해 1,095개의 난자를 사용했다.
이들 난자는 개 사육업체가 발정이 일어난 암캐의 난관에서 난자를 직접 채취해 공급한 것이다. 그러나 워낙 많은 난자를 다루다보니 어느 개의 난자가 사용됐는지 일일이 적어놓지 못했다.
연구팀 내부에서 최근 확인한 결과 난자를 제공한 국내산 잡종견은 죽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따라 ‘핵 DNA는 체세포 제공자(타이)의 것과 일치하고 세포질 DNA는 난자 제공자의 것과 일치해야 한다’는 기본 공식을 증명하기 어렵게 됐다.
또 스너피가 속한 아프간하운드종이 순수혈통으로 유전자가 잘 보존됐다는 점도 일을 꼬이게 한다. 타이와 스너피의 핵 DNA가 같다고 하더라도 근친교배에 의한 자연산으로 오해받을 소지가 생기는 것. 서울대 조사위가 스너피 관련 혈액 샘플을 다른 연구기관에 다시 분석의뢰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경북대 유전공학과 하지홍 교수는 “근친교배로 혈통이 유지된 개들은 일반적인 DNA검사로는 놓치는 부분이 생기므로 정확한 유전자 마커를 뽑아 정밀검사를 해야 한다”며 “아프간하운드종의 다른 개도 유전자 검사를 실시해 핵과 세포질 DNA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검토해보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다.
한편 서울대 수의대 관계자는 “네이처 논문 제출 당시 8마리의 국내 아프간하운드 개의 DNA 분석 결과를 함께 보낸 것으로 안다”며 “조사위에서 이러한 방증자료를 모두 검토해 판단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은정 과학전문기자 ejung@kyunghyang.com〉
이게뭐니 이게
서울대 수의대팀은 스너피 복제를 위해 1,095개의 난자를 사용했다.
이들 난자는 개 사육업체가 발정이 일어난 암캐의 난관에서 난자를 직접 채취해 공급한 것이다. 그러나 워낙 많은 난자를 다루다보니 어느 개의 난자가 사용됐는지 일일이 적어놓지 못했다.
연구팀 내부에서 최근 확인한 결과 난자를 제공한 국내산 잡종견은 죽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따라 ‘핵 DNA는 체세포 제공자(타이)의 것과 일치하고 세포질 DNA는 난자 제공자의 것과 일치해야 한다’는 기본 공식을 증명하기 어렵게 됐다.
또 스너피가 속한 아프간하운드종이 순수혈통으로 유전자가 잘 보존됐다는 점도 일을 꼬이게 한다. 타이와 스너피의 핵 DNA가 같다고 하더라도 근친교배에 의한 자연산으로 오해받을 소지가 생기는 것. 서울대 조사위가 스너피 관련 혈액 샘플을 다른 연구기관에 다시 분석의뢰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경북대 유전공학과 하지홍 교수는 “근친교배로 혈통이 유지된 개들은 일반적인 DNA검사로는 놓치는 부분이 생기므로 정확한 유전자 마커를 뽑아 정밀검사를 해야 한다”며 “아프간하운드종의 다른 개도 유전자 검사를 실시해 핵과 세포질 DNA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검토해보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다.
한편 서울대 수의대 관계자는 “네이처 논문 제출 당시 8마리의 국내 아프간하운드 개의 DNA 분석 결과를 함께 보낸 것으로 안다”며 “조사위에서 이러한 방증자료를 모두 검토해 판단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은정 과학전문기자 ejung@kyunghyang.com〉
[영롱이]
1. 영롱이의 어미소가 병들어 죽었는데 세포 보관없이 전부 화장.
2. 따라서 영롱이 DNA지문 검증불가.
3. 그나마 영롱이 실험 데이터는 이사를 2-3번 하면서 다 잃어버렸다고 함.
[스너피]
1. 스너피의 난자제공견도 죽었음.
2. 이번에도 화장해서 DNA추출이 원천적으로 불가능.
3. 체세포제공견, 난자제공견, 스너피 중 난자제공견의 DNA가 없음. (3가지 필요하나 2가지 존재.)
4. 따라서 스너피도 검증 힘듦.
5. 그래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다각도로 검증을 시도하고 있음.
-출처 헝그리보더-1. 영롱이의 어미소가 병들어 죽었는데 세포 보관없이 전부 화장.
2. 따라서 영롱이 DNA지문 검증불가.
3. 그나마 영롱이 실험 데이터는 이사를 2-3번 하면서 다 잃어버렸다고 함.
[스너피]
1. 스너피의 난자제공견도 죽었음.
2. 이번에도 화장해서 DNA추출이 원천적으로 불가능.
3. 체세포제공견, 난자제공견, 스너피 중 난자제공견의 DNA가 없음. (3가지 필요하나 2가지 존재.)
4. 따라서 스너피도 검증 힘듦.
5. 그래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다각도로 검증을 시도하고 있음.
이게뭐니 이게
'이최공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6년 1월 1일 (1) | 2006.01.01 |
---|---|
2005년을 보내며 (3) | 2005.12.30 |
회사 송년회 - 마케팅팀 사람들 (0) | 2005.12.28 |
외우자 (0) | 2005.12.28 |
날자 (0) | 2005.12.28 |